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일반

경기불황에도 작년 세금 10조원 더 걷은 정부

 

ⓒ KBS 뉴스 캡쳐

 

경기가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지난해 국세는 예산보다 10조 원 가까이 더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서울 중구 한국재정정보원에서 2016 회계연도 총세입·세출부를 마감하고 지난해 정부의 세입·세출 실적을 확정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 수입은 242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4조7천억원 증가해, 역대 최대 증가치를 보였다.

지난해 추경안 대비로는 9조8천억원을 초과해 세수 결손을 면했다.

정부는 2012년부터 3년 연속 세수 결손을 기록하다가 2015년 국세를 2조2천억원 더 걷어 세수 결손에서 탈출했다.

기재부는 세수가 잘 걷힌 배경으로 "법인실적이 개선되고 소비 증가, 부동산 시장 호조 등이 겹쳤다"며 "그간 대기업·고소득자 중심의 비과세·감면 정비 등 세입 기반 확충 노력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지난해 초과 세수가 추경 당시 전망보다 2배나 많다며 정부 세수 예측 신뢰도가 낮은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추경을 편성하면서 세수가 본예산(222조9천억원)보다 9조8천억원 많은 232조7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실제로는 추경보다도 9조8천억원이 더 많은 242조6천억원 걷힌 것이다.

초과 세수를 보다 정교하게 전망했다면 지난해 추경 규모가 늘어나 경기 대응 역할을 더 잘했으리라는 비판도 있다.

실제 지난해 11조원의 추경을 편성한 것을 두고 경기 위축을 막고 고용 한파에 대응한다는 취지에 비해 규모가 작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세수 결손을 피하고자 추경 세입 증액경정을 보수적으로 잡은 측면이 있다"며 "하반기에 세수 증가 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는데 그렇지 않기도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