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가을보다는 봄철에 야생진드기로 인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에 더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진드기를 채집해 SFTS 바이러스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3∼6월 기간 야생진드기의 SFTS 야외최소감염률은 평균 0.8%로 7∼12월 평균 0.4%의 2배 수준이었다고 9일 밝혔다.
SFTS란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에 물리면 감염되는 질병으로 38∼40℃의 고열이 3∼10일간 지속되고 구토·설사·식욕저하 등의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혈소판이나 백혈구가 감소하며 고령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야외최소감염률이란 시료 가운데 양성으로 검출된 혼합시료의 수를 진드기 총수로 나눈 값이다.
과학원 연구진은 2016년 3월부터 작년 12월까지 인천과 전북 일대에서 야생진드기 1만 6184마리를 시기별로 채집해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채집된 1만 6184마리 중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진드기는 약 80마리(감염률 0.5%)였다.
월별로는 3월의 감염률이 1.6%로 1년 중 가장 높았고 4월과 7월이 0.7%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 6월 0.6%, 9∼11월 0.5%, 5월 0.4%였으며 12월에는 0%를 기록했다.
이를 종합했을 때 3~6월 평균 SFTS 바이러스 감염률이 0.8%로 7~12월의 평균 0.4%보다 약 2배가 높아 봄철에 SFTS 감염을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봄철 진드기와 야생동물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흡혈활동이 활발해져 감염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했다.
SFTS는 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4, 5월 시기에 최초 환자가 발생하여 11월까지 감염환자가 발생했다.
SFTS 바이러스에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최선책이다.
이에 따라 야외에 있을 때는 긴 옷을 착용하거나 장화를 신고 벌레 기피제를 뿌리는 것이 좋다. 풀밭에는 앉거나 눕지 말아야 하며 집에 돌아왔을 때는 바로 목욕을 하고 옷을 세탁해야 한다.
과학원은 연구를 통해 올해 안에 친환경적인 진드기 기피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봄철에 야생진드기의 SFTS 감염률이 높게 나타나고, 최근 야생동물에서도 SFTS 감염이 확인되고 있다”며 “야생진드기나 야생동물에 물리지 않도록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등 봄철 야외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남시 한마음복지관 ‘장애인의 날’ 기념해 다양한 행사 개최 (0) | 2018.04.18 |
---|---|
이마트, 소아암 어린이 돕기 헌혈증 6091매 기부 (0) | 2018.04.18 |
‘실업급여’ 부정수급 관리위해 고용보험수사관 활동 시작 (0) | 2018.04.09 |
오는 6일 朴 1심 선고, 생중계될까 (0) | 2018.04.04 |
“어패류 익혀드세요”···여수서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