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7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
지난해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처음으로 많아졌다.
과거 노인인구가 적은 반면 유소년 인구가 많은 삼각형 모양에서 이제는 마름모꼴로 인구 구조도 바뀌었다.
통계청이 지난 22일 발표한 ‘2017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45만명으로 전년 대비 0.39% 증가했다. 통계청은 2032년 이후부터 총인구가 감소하고 2060년에는 인구성장률이 -0.97%에 이를 것으로 보고있다.
우리나라 중위연령은 이미 2014년(40.3세) 40세를 넘어섰고, 지난해에는 42.0세를 기록했다. 2033년이 되면 50.3세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3.8%(707만6000명)로 15세 미만 유소년인구(13.1%·675만1000명) 보다 높았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능가한 것은 처음이다. 고령인구를 유소년인구로 나눠 100을 곱한 노령화지수는 104.8명이다.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이 21.5%로 가장 높고 전북(18.5%)과 경북(18.4%)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인구 다섯에 하나는 노인이라는 뜻이다. 반면 세종(9.2%)과 울산(9.6%)은 고령인구 비율이 비교적 낮았다.
지난해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은 73.1%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통계청은 2060년이 되면 노령화지수가 434.6명, 노년부양비가 82.6명으로 현재보다 4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여가 활용에 만족하는 이들의 비율은 27.2%로 2년 전보다 1.2% 포인트 높아졌고 불만족이라는 반응은 26.2%로 1.1% 포인트 상승했다.
여가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을 지목한 이들이 5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간부족(24.4%), 체력이나 건강 상태 불량(10.4%) 등이 꼽혔다.
삶에 대한 만족도, 행복감에 대한 인식은 전년보다 0.1점 상승했다.
반면 걱정(근심), 우울감에 대한 인식은 전년보다 각각 0.2점, 0.1점 감소했다.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은 50대와 60대에서 낮았다. 걱정(근심)과 우울감은 10∼20대와 40대에서 높았다.
'사회 >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늘자 마스크 특허출원 활발해져 (0) | 2018.03.28 |
---|---|
서울시 ‘홍수 대비’ 17개 주요하천 퇴적토 준설 우기 전 완료 (0) | 2018.03.27 |
초미세먼지 환경기준,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강화 (0) | 2018.03.21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가입자 2배로 늘려 (0) | 2018.03.21 |
통신사 요금, 전화 한 통하고 25% 할인 받자 (0) | 2018.03.21 |